Figma에서 컬러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계하고 컬러 팔레트 구성하기

 Figma는 디자인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특히, 컬러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것은 디자인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팀원 간의 협업을 원활하게 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Figma에서 컬러 시스템을 설계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아래 예시를 따라 Figma 파일 내에 컬러 시스템을 직접 구성해 보세요. 단계별로 스크린샷과 설명을 덧붙였으니, 그대로 따라 하시면 됩니다.


1. Figma에서 컬러 시스템의 중요성

컬러 시스템은 디자인의 기본 요소 중 하나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강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일관된 컬러 사용은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주고, 디자인의 가독성을 높여줍니다. 따라서, 체계적인 컬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결론적으로, Figma에서 컬러 시스템은 단순히 예쁜 색상을 모아두는 것을 넘어, 디자인 프로세스의 뼈대 역할을 합니다. 이는 디자인의 일관성을 보장하고,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팀원 간의 협업을 촉진하고, 궁극적으로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합니다.


2. 컬러 시스템 설계 단계

컬러 시스템을 설계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컬러 팔레트 정의하기 : 기본 색상, 보조 색상, 강조 색상 등을 정의합니다.

2) 컬러 스타일 등록하기 : Figma에서 사용할 컬러 스타일을 등록합니다.

3) 컬러 팔레트 구성하기 : 각 색상의 명도와 채도를 조절하여 팔레트를 구성합니다.

4) 문서화하기 : 컬러 시스템을 문서화하여 팀원들과 공유합니다.


3. 컬러 스타일 등록하기

Figma에서 컬러 스타일을 등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Figma 파일을 열고, 왼쪽 패널에서 '스타일'을 선택합니다. 그런 다음, '컬러'를 클릭하여 새로운 컬러 스타일을 추가합니다.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세요.

컬러 스타일 등록하기 예시









4. 컬러 팔레트 구성하기

컬러 팔레트를 구성할 때는 각 색상의 명도와 채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기본 색상은 500으로 설정하고, 그라데이션을 통해 100에서 900까지의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냅니다.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여 팔레트를 구성해보세요.

컬러 팔레트 구성하기











5. 컬러 시스템 문서화

컬러 시스템을 문서화하는 것은 팀원들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디자인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Figma에서는 'Auto Documentation'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문서화할 수 있습니다. 이 플러그인을 활용하면, 컬러 스타일과 사용 예시를 쉽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6. 실제 예시와 스크린샷

아래 이미지는 Figma에서 컬러 스타일을 관리하는 'Style Organizer' 도구의 인터페이스입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면 색상 스타일을 쉽게 관리하고, 새로운 스타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Style Organizer' 도구의 인터페이스









Style Organizer 사용 예시: 1) 새로운 프로젝트 시작: 기존 프로젝트에서 스타일을 가져올 때, 중복되는 스타일을 정리하고 새 프로젝트에 맞게 재정렬합니다. 2) 디자인 시스템 감사: 현재 사용 중인 디자인 시스템을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불필요한 스타일을 제거하고, 누락된 스타일 연결을 찾아 수정합니다. 3) 여러 디자이너 협업: 여러 디자이너가 같은 파일에서 작업할 때, 각자가 만든 임시 스타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통합된 스타일 시스템을 유지합니다.


이렇게 Figma에서 컬러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있어 컬러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위의 단계를 참고하여 자신만의 컬러 시스템을 만들어 보면서 점진적으로 디자인 시스템을 발전 시켜보도록 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Figma의 주요 장점과 다른 UI 디자인 툴과의 비교 분석

피그마 사용자라면 기본, 베리언트 기능활용

피그마의 스타일과 레이아웃(토큰 시스템, 컨스트레인트, 오토레이아웃)